반응형

##

 

안녕하세요? 설날인데, 가족들과 행복한 설 연휴들 잘 보내고 계신가요? 그저께는 제가 보던 웹툰에 여운이 강하게 남아서 잠시 다른 주제로 포스팅을 올려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한의학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9번째 포스팅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음양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물에 음양 속성을 적용시켜서 설명드리고 시간이 남으면 음양학설의 다른 부분들도 더 다뤄보겠습니다.

 

##

 

2-1)-(2) 사물의 음양속성

 음양은 서로 관련되면서 대립되는 사물과 현상뿐만 아니라, 하나의 사물 내부에서 대립하고 있는 두 가지 측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前者)에는 하늘과 땅、해와 달、낮과 밤、물과 불、한()과 열() 등이 해당되고, 후자(後者)에는 升()과 降()、밝음과 어둠, 인체 내부의 기()와 혈()、장()과 부() 등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외향、상승、온열、무형、명량(明亮)、흥분적인 것은 모두 ()”에 속하고, 상대적으로 정지、내수(內守)、하강、한랭、유형、어두움、억제적인 것은 모두 ()”에 속한다. 천지를 예로 들면하늘은 양이요, 땅은 음이다, 천기(天氣)는 맑고 가벼워 위로 향하므로 양()에 속하고, 지기(地氣)는 탁하고 무거워 아래로 향하므로 음()에 속한다.

 

 물과 불을 예시로 말하자면, “물은 음이요, 불은 양이다, 물의 성질이 차가우면서 아래를 적시므로 음()에 속하고, 불의 성질은 뜨거우면서 위로 타 오르므로 양()에 속한다. 물질의 운동변화로 말하자면, “양은 기()로 바뀌고, 음은 形을 이룬다”고 할 수 있는데, 물질이 유형에서 무형이 되는 과정은 양()에 속하고, 물질이 무형의 기()로부터 응취하여 형()을 이루어 유형의 물질이 되는 과정은 음()에 속한다. ()과 陽의 상대속성을 의학의 영역에 도입하면, 인체 가운데 비어 있고, 외향、미산(彌散)、추동、온후、흥분、승거(升擧) 등의 특성을 가진 사물과 현상은 모두 陽에 속하며, 속이 가득 차 있고, 내수(內守)、응취、영정(寧靜)、양윤(凉潤)、억제、침강(沈降) 등의 특성을 가진 사물과 현상은 모두 음()에 속한다. , ()은 음이고 부()는 양이며, ()은 음이고 기()는 양이며, 영기(營氣)는 음이고 위기(衛氣)는 양이다.

 

 사물의 음양속성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것이다. 이러한 상대성은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음양의 쌍방이 비교를 통해 음양으로 나뉘는 것이기 때문에 단일 사물의 경우 음양을 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60℃의 물은 10℃의 물과 비교하여 분명히 양()에 속하지만, 100℃의 물과 비교하면 음()에 속한다. 또 하나는 음양 중에 또 다시 음양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낮은 양()이 되고, 밤은 음()이 되는데, 낮의 오전과 오후를 상대적으로 말하자면, 오전은 양 중에서도 양()이 되고, 오후는 양() 중에서는 음()이 되며, 어두운 밤의 전반야(前半夜)와 후반야(後半夜)를 상대적으로 말하자면, 전반야(前半夜)는 음() 중에서도 음()이 되고, 후반야(後半夜)는 음() 중에서는 양()이 된다. 그래서 음양에 또 음양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로써 우주간의 어떤 사물이라도 모두 음과 양으로 개괄할 수 있으며, 어떤 한 종류의 사물 내부는 다시 음과 양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물의 상호 대립하면서 또 상호 연계되는 현상은 자연계에 무궁무진하다.

 

 그래서 『素問(소문) 金匱眞言論(김궤진언론)』에서음 가운데에 양이 있고, 양 가운데에 음이 있다”, 『素問(소문) 陰陽離合論(음양리합론)』에서음양은 열을 세어 백을 추단할 수 있고, 천을 세어 만을 추단할 수 있다. 만의 크기는 능히 셀 수 없으니 결국 그 요점은 하나다라고 하였다.

 

 음양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명나라의 장개빈(張介賓)은 『類經(류경) 陰陽類(음양류)』에서음양은 하나가 둘로 나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엄격하게 말해서 어떤 사물도 임의로 음양을 나눌 수 없으며, ()은 양()에 속하고, ()은 음()에 속한다고 할 수 없으며, 또한 여자는 양()에 속하고, 남자는 음()에 속한다고 할 수 없는데, 반드시 음과 양이 가지는 특유의 속성에 따라 하나가 둘로 나누어져야 비로소 음양인 것이다. 그러므로 비교적 완정하면서도 간요한 기본 개념은 바로음양은 특정한 속성으로 하나가 둘로 나누어진 것이다.

 

##

 

2-2) 음양학설의 기본 내용

 음양학설의 기본 내용은 음양의 상호교감、대립제약、호근호용、소장평형과 상호전화 등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서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음양학설의 내용 중 음양의 상호교감에 대한 내용부터 상세하게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들 남은 연휴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