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포스팅부터 십이경맥의 개요와, 그에 속하는 경맥들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수태음폐경, 수양명대장경, 족양명위경까지 살펴보았고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족태음비경부터 마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3-2)-(4) 족태음비경
족태음비경은 엄지발가락 안쪽의 은백혈(隱白穴)에서 시작하여 발등 안쪽의 적백육제를 따라 올라가 내과(內踝) 전연의 상구혈(商丘穴)을 지납니다. 그리고 하퇴(下腿) 내측의 정중선을 따라 올라가 내과상(內踝上) 팔촌처(八寸處)에서 족궐음간경과 교차한 다음 앞으로 가게 됩니다. 그런 다음, 대퇴 내측 전연을 따라 올라가 충문혈(衝門穴)에 이른 다음, 복부로 진입하여 비(脾)에 속(屬)하고 위(胃)에 낙(絡)하게 됩니다. 그런 다음에는 복애혈(腹哀穴)에서 올라가 횡격막을 지나서 식도의 양측을 따라가서 인(咽)의 양측을 순행하다가 혀뿌리에 이어지며 혀의 아래에 분포하게 됩니다.
족태음비경의 분지(分支)는 위부(胃部)에서 나와 횡격막을 지나 전중혈(膻中穴)에서 심중(心中)으로 들어간 다음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과 만나게 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족태음비경 그림을 첨부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3-2)-(5) 수소음심경
수소음심경은 심중(心中)에서 시작한 다음 심계(心系)에 부속(附屬)하여 밑으로 횡격막을 지나 하완혈(下脘穴)에 이르러서 소장에 낙(絡)합니다.
이후, 직행(直行)하는 경맥(經脈)은 먼저 심계에서 분출해서 폐로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가 액하(腋下)의 극천혈(極泉穴)로 나오게 됩니다. 그런 다음, 상지 내측 후연을 따라가서 주(肘)、완(腕)을 지나 장후(掌後) 예골단(銳骨端)으로 들어갑니다. 그다음에는, 장후(掌後) 내측에서 새끼손가락 요측단(=소지요측단(小指橈側端))의 소충혈(少衝穴)로 직행하여 수태음소장경과 만나게 됩니다.
수소음심경의 분지(分支)는 심계(心系)에서 나와 식도의 양측을 따라 올라가 목과 얼굴의 심부(深部)를 지나 목계(目系)에 이어지게 됩니다.
그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3-2)-(6) 수태양소장경
수태양소장경은 새끼손가락 바깥쪽 끝의 소택혈(少澤穴)에서 시작해서 곧장 올라가서 완부(腕部) 외측의 양곡혈(陽谷穴)을 지나고, 상지 외측 후연을 따라 올라가 주부(肘部)를 지나게 됩니다. 그런 다음, 견관절 후면의 견정혈(肩貞穴)로 나와 견갑부의 견중유(肩中兪)를 돌아서 견상(肩上)의 대추혈(大椎穴)에서 만나게 됩니다. 그다음에는, 앞으로 가서 결분(缺盆)을 지나 흉강으로 들어가고 전중혈(膻中穴)로 내려가 심(心)에 낙(絡)하게 됩니다. 그 후, 다시 식도를 따라가서 횡격막을 지나 위부에 이른 다음, 내려가 소장에 직속합니다.
수태양소장경의 분지(分支)는 결분(缺盆)에서 나와 목을 따라 올라가 뺨에 이릅니다. 그러고는 외안각(外眼角) 후부(後部)에 이른 다음, 방향을 꺾어 귀로 들어가게 됩니다.
수태양소장경의 또 다른 분지(分支)는 뺨에서 나와 눈구멍의 하연(下緣)으로 비스듬히 간 다음, 비근부(鼻根部)로 직행한 후 내안각(內眼角)에 이르러서 족태양방광경과 만나게 됩니다.
수태양소장경의 시각적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3-2)-(7) 족태양방광경
족태양방광경은 내안각(內眼角)의 정명혈(睛明穴)에서 시작하여, 올라가서 액부(額部)를 지나 전정(巓頂)으로 직행한 다음, 두정부의 백회혈(百會穴)에서 좌우가 만나게 됩니다.
그 이후에, 먼저 직행하는 경맥은 두정부에서 나와 뒤로 가서 후두골로 내려가 노강(顱腔)으로 들어가서 뇌에 낙(絡)하게 됩니다. 그런 다음 다시 되돌아 나와 항부(項部)의 천주혈(天柱穴)로 내려가 대추혈(大椎穴)에서 만난 다음, 좌우로 나뉘어 견갑 내측과 척주 양쪽을 따라가서 요부(腰部)의 신유혈(腎兪穴)에 이르게 됩니다. 그런 다음에는, 척주 양측의 근육으로 들어갔다가 복강으로 들어가서 신(腎)에 낙(絡)하고 방광(膀胱)에 속하게 됩니다.
그 외 족태양방광경의 분지(分支)는 크게 3개가 있는데, 편의상 ‘분지 1’은 두정부의 백회혈(百會穴)에서 나와 이상각부(耳上角部)에 이르게 됩니다.
분지(分支) 2는 허리에서 나와 척주 양측을 따라 내려가서 둔부를 관통한 다음, 대퇴 후측 외연을 따라 내려가 오금의 위중혈(委中穴)에 이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분지(分支) 3은 항부(項部)에서 나와 내려간 다음, 어깨뼈 내측을 지납니다. 그다음, 부분혈(附分穴)에서 척(脊)의 양측으로 가고, 배중선(背中線)에서 옆으로 9cm 정도 떨어진 곳을 따라 내려가서 비추(髀樞)로 직행합니다. 그 후, 대퇴 후측을 지나 오금에 이르러서는 앞의 지맥(支脈)과 만난 다음, 내려가서 비복근을 관통하게 됩니다. 다시 그다음에는, 족외과(足外踝) 뒤쪽의 곤륜혈(崑崙穴)을 지나 발뒤꿈치에서 꺾여 앞쪽으로 가고, 다시 발등 바깥쪽을 지나 새끼발가락 바깥쪽 끝의 지음혈(至陰穴)에 이르고 족소음신경과 만나게 됩니다.
족태양방광경의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3-2)-(8) 족소음신경
족소음신경은 새끼발가락 끝 아래쪽(=足小指端下(족소지단하))에서 시작하여 족심(足心)의 용천혈(湧泉穴)로 비스듬히 가서 주상골(舟狀骨) 조면 밑의 연곡혈(然谷穴)로 나오게 됩니다. 그다음, 내과(內踝)의 뒤를 따라가다 나뉘어 나와 족근(足跟)으로 들어오고, 다시 올라가서 하퇴(下腿) 내측 후연을 따라가서 오금 내측에 이르게 됩니다. 그런 다음에는, 고(股) 내측 후연으로 곧장 올라가 척주를 관통하여 미골부(尾骨部)의 장강혈(長强穴)에 이릅니다. 그리고 다시 척주를 관통해서 신(腎)에 속(屬)하고, 방광(膀胱)에 낙(絡)하게 됩니다.
직행하는 경맥은 신(腎)에서 상행해서 간과 횡격막을 관통하여 폐중(肺中)으로 들어가 유부혈(兪府穴)에 이른 다음, 후롱을 따라 올라가 혀뿌리 양측에 이르게 됩니다.
족소음신경의 분지(分支)는 폐중(肺中)에서 나와 심(心)에 낙(絡)하고, 흉중(胸中)의 전중혈부(膻中穴部)로 들어가서 수궐음심포경과 만나게 됩니다.
족소음신경의 배치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포스팅에서 수궐음심포경부터 나머지 경맥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의학.##역사.동양사.동아시아사.철학.동양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락(經絡 Meridian) 8 – 십이경맥의 순행원칙 (0) | 2022.07.13 |
---|---|
경락(經絡 Meridian) 7 – 십이경맥의 종류 마지막 (수궐음심포경 ~ 족궐음간경) (0) | 2022.07.12 |
경락(經絡 Meridian) 5 – 십이경맥의 개요와 종류 (0) | 2022.07.10 |
경락(經絡 Meridian) 4 – 경락의 생리공능 마무리 (0) | 2022.07.09 |
경락(經絡 Meridian) 3 – 경락의 생리공능 (장부 기관의 연결 및 상하 내외를 소통)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