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안녕하세요? 기혈진액 5번째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다시피, 기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지, 그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는 원기, 종기, 영기, 위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선 원기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1-5) 기의 분류

 인체의 기는 신의 정기(선천지기), 비위로부터 만들어진 수곡정기(후천지기)와 폐가 흡입한 청기로부터 유래한 것인데, 폐、비위、신 등 장부의 종합적인 작용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전신에 퍼져 있다. 그 주요한 조성 부분、분포 부위와 공능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명칭이 있다.

『內經(내경)』 이후, 역대 의가들은 대개기본일기(氣本一氣)”라는 학설에 따랐다.

예컨대 유창(喩昌)은 『醫門法律(의문법률)』에서

 

 기에는 외기(外氣)가 있는데 천지의 기를 말한다. 기에는 내기(內氣)도 있는데 사람의 원기(元氣)를 말한다. 기가 조화를 잃으면 사기(邪氣)가 되고, 조화되면 정기(正氣)가 되며 진기(眞氣)라고도 한다. 그런데 진기(眞氣)가 있는 곳은 세 군데뿐으로 상(), (), ()가 그것이다. ()은 하늘로부터 받아 호흡을 통하여 있는 것이요, ()은 수곡(水穀)으로부터 생겨 영위(營衛)를 기르는 것이요, ()는 기가 정()으로 바뀌어 명문에 저장되는 것이다. 사람은 단지 이 기에 기대어 살아갈 뿐이다

 

라고 하였는데, 그는 인체의 모든 기는 진기에 의해 통속(統屬)된다고 하였다.

하몽요는 『醫(의편)』에서

 

 기는 하나일 따름이니, 맥외(脈外)를 흐르면 위기(衛氣)라 하고, 맥중(脈中)을 흐르면 영기(營氣)라 하고, () 중에 모여 있으면 宗氣라 한다. 이름은 세 가지이지만 본래는 하나일 따름이다”

 

라고 하였다.

 

 “기본일기(氣本一氣)”의 견해를 바탕으로 원기(元氣), 종기(宗氣)、위기(衛氣)와 영기(營氣)를 말하자면, 원기는 생명의 처음에 부모의 정()에서 근원한 생명계통 가운데 최고의 층차이자 가장 근본적인 기로 인체의 대사와 공능에 대해 추동과 조절작용을 한다. 그리고 종기、영기、위기는 모두 후천의 수곡정기와 청기로 된 것이며, 그 주요한 조성 성분、분포 부위와 공능 특징에 따라 불리워지며, 비교적 낮은 층차의 기로, 인체에 영양과 동력을 공급해준다.

 

##

 

1-5)-(1) 원기(元氣)

 

##

 

 1-5)-(1)-() 기본적인 뜻

  원기(元氣)原氣라고도 한다. 이른바 원기는 인체 가운데 가장 기본이면서 중요한, 신에서 근원하는 기이고, 원음(元陰)과 원양(元陽)을 포함하는 기이다.

 

 ##

 

 1-5)-(1)-() 생성과 분포

  원기는 신정(腎精)에서 만들어지고, 삼초(三焦)에 의존하여 전신을 순행한다.

 

  ①생성

 : 원기는 신에서 근원하며, 신정(腎精)이 화생한 신기(腎氣), 신중정기(腎中精氣)로 통칭되기도 하고, 또 원기(原氣)로도 불리운다. 신중정기가 선천의 정기를 기초로 하지만, 또한 후천 수곡의 기에 힘입어 배양된다. 따라서 원기가 충족되려면 반드시 비위의 기가 상하지 않아야만 원기를 자양할 수 있다. 만약 위기(胃氣)가 본래 약하고 비위의 기가 또 상하면 원기는 충족될 수 없다.

 

  ②분포

 : 원기는 신에서 일어나고 삼초를 통해 전신을 순행하여 안으로는 오장육부로, 밖으로는 기부주리(肌膚腠理)로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 원기는 순행하는 과정 중에 인체 각 장부、경락 및 체표조직을 지나 그 생리공능을 발휘한다.

 

 ##

 

 1-5)-(1)-() 주요 공능

  원기에는 인체의 생장발육과 생식을 추동하고 각 장부、경락 등 조직기관의 생리공능을 일으키고 조절하는 작용이 있어서 인체 생명활동의 원동력이 된다.

 

  원기는 인체의 생장과 발육을 추동하는데, 인체의 생장장노이(生長壯老已)의 자연 법칙과 신정의 성쇠는 서로 밀접히 관련된다. 사람은 유년에서부터 신정이 점점 충성(充盛)하여 치아를 갈고 모발이 자라는 등의 생리현상이 나타난다. 청장년에 이르면 신정이 한층 더 충성해져서 극점에 도달하고, 신체 또한 발육이 최고조에 이르러 영구치가 생기고 신체가 튼튼해지며 근골이 강건해지고, 아울러 생식능력을 가지게 된다.

 

  노년에 이르면 신정이 쇠퇴하고 몸 또한 점점 노쇠해져 전신 근골의 운동이 영활하지 못하고 치아가 흔들리며 모발이 빠지는 등 노쇠한 현상이 나타나고 생식공능 역시 소실된다. 이로써 신정은 신체의 생장발육과 생식을 결정하여 인체 생장발육의 근원이 됨을 알 수 있다. 만약 신정이 줄어서 적어지면 인체의 생장발육에 영향을 미쳐 생장발육과 생식공능의 장애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발육이 지연되거나 근골이 위연케 되며, 성년의 경우에는 아직 늙지 않았는데도 쇠약해지거나 이가 흔들리고 모발이 빠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원기는 각 장부와 경락 등 조직 기관의 생리활동을 추동 조절할 수 있다. 명문(命門. 일반적으로는 신()을 가리킴)은 원기의 뿌리이고 수화(水火)의 거처이며, 원기 중에는 명문의 수화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오장의 음기는 이것이 아니면 자양될 수 없고, 오장의 양기 역시 이것이 아니면 발휘될 수 없다. 명문의 화()가 오장에 이르면 오장의 양기를 발휘시켜 장부의 온후와 추동공능을 촉진하며, 명문의 수()가 오장에 이르면 오장의 음기를 자양하여 오장을 자윤(滋潤)하고 안정시키는 등의 공능이 강화된다. 명문의 수화와 음양이 평형이면 기화가 조화롭고 한온(寒溫)이 적절해져서 장부공능이 음평양비(陰平陽秘)의 건강상태에 놓이게 된다. 만약 원기 중의 음양이 균형을 상실하면 병변이 일어난다.

 

##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원기에 대해 다뤄보았으니, 다음 포스팅에서는 종기(宗氣)’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