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안녕하세요? 기혈진액 4번째 포스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의 생리공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4) 기의 생리공능

 

##

 

1-4)-(1) 추동(推動) 작용

 기의 추동작용은 기가 가지고 있는 격발과 추동작용을 가리킨다. 기는 활력이 매우 강한 정미로운 물질인데, 인체의 생장발육과 각 조직기관의 생리공능을 격발시키고 촉진시킬 수 있으며, 혈액의 생성과 운행 및 진액의 생성、수포와 배설 등을 추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기는 인체의 생장발육을 촉진하고, 각 장부의 생리활동을 격발하고 추동하는데, 기가 행()하면 혈이 행하고, 기가 행하면 수가 행하기 때문에 인체의 혈액순환과 수액대사도 모두 기의 추동작용에 의해 완성된다.

 

 기의 추동작용이 약해지면 인체의 생장이나 발육에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노화가 촉진되며, 또한 장부 경락 등 조직기관의 생리활동을 감퇴시켜 혈액과 진액의 생성 부족、운행 지체와 수포와 배설장애 등의 병리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

 

1-4)-(2) 온후(溫煦) 작용

 양기가 기화하여 열을 발생시켜서 인체를 따뜻하게 하는 작용을 가리키는데, 『難經(난경)』에서 말하기를

 “기는 온후하는 작용을 한다

고 하였다.

 기의 이런 공능은 인체 내에서 매우 중요한 생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인체의 체온은 기의 온후작용을 받아서 유지되고, 각 장부 경락 등 조직기관의 생리활동은 기의 온후작용 아래 진행된다. 혈은 따뜻하면 흐르고 기는 수()로 변화할 수 있으며, 혈과 진액 등 액체상태의 물질들은 모두 기의 온후작용 아래 비로소 정상적인 순행을 할 수 있다. 인체를 덥히는 기는 양기이고, 양기는 기화하여 열을 만든다. 그러므로 양기가 많을수록 열의 생산도 많아지고, 양기가 부족하면 열의 생산도 줄어들기 때문에 “기가 유여하면 화()가 된다”, “기가 부족하면 寒이 된다고도 하였다. 청나라의 하몽요(何夢瑤)는 『醫(의편)』에서 이에 관해양기(陽氣)는 따뜻한 기()이다라고 하였다.

 

##

 

1-4)-(3) 방어 작용

 기에는 기부(肌膚)를 호위하고 사기(邪氣)를 방어하는 작용이 있다. 기의 방어작용은 한편으로는 사기의 침입을 방어하는 것이고, 또한 사기를 밖으로 쫓아내는 것이다. 그래서 기의 방어공능이 정상적이면 사기가 쉽게 침입하지 못하고, 혹시 사기가 침입하더라도 쉽게 발병하지 않으며, 설령 발병하더라도 쉽게 치유된다. 기의 방어공능이 약해지면 인체가 사기를 막아내는 능력도 떨어진다. 또 인체가 질병에 쉽게 감염되고, 병에 걸린 다음에도 쉽게 낫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의 방어공능과 질병의 발생、발전、예후는 모두 밀접한 관계가 있다.

 

##

 

1-4)-(4) 고섭(固攝) 작용

기는 체내 액체상태의 물질인 혈、정、진액 등을 고호(固護) 통섭(統攝)하고 제어하여 불필요하게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의 고섭작용은 다음의 세 가지로 나타난다.

 

##

 

1-4)-(4)-() 혈액을 고섭하여 혈액이 맥외로 넘쳐 나는 것을 방지하고, 혈액이 맥내에서 정상적으로 순행하도록 한다.

 

##

 

1-4)-(4)-() 땀、오줌、침、위액(胃液)、장액(腸液) 등을 고섭하여 그 분비량과 배설량을 제어함으로써 체액의 소실을 방지한다.

 

##

 

1-4)-(4)-() 정액(精液)을 고섭하여 망설(妄泄)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의 고섭 작용이 약해지면 체내의 액체상태 물질이 대량으로 손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가 혈()을 고섭하지 못하면 각종 출혈이 발생하며, 기가 진()을 고섭하지 못하면 자한(自汗)、다뇨(多尿)、소변실금、유연(流涎)、범토청수(泛吐淸水)、설하활탈(泄下滑脫)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기가 정()을 고섭하지 못하면 유정(遺精)、활정(滑精)、조설(早泄) 등이 나타날 수 있고, 기가 허하여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고섭되지 못하면 유산、태동불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기의 고섭작용과 추동작용은 상호보완적인데, 기는 혈액의 운행、진액의 수포와 배설을 추동하고, 동시에 체내 액체상태의 물질을 고섭하여 비정상적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의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의 작용은 상호협조하여 체내 액체상태 물질의 정상적인 운행、분포와 배설을 제어하는데, 이는 인체의 정상적인 혈액순행과 수액대사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이다.

 

##

 

1-4)-(5) 기화(氣化) 작용

 기화는 기의 운동을 통하여 일어나는 각종 변화이다. , 정、기、혈、진액 각자의 신진대사와 그 상호간의 전화(轉化)이다. 실제로 기화과정은 신진대사의 과정이며, 물질전화와 에너지전화의 과정이다.

 

 기는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물질적인 기초이며, 항상 끊임없는 자아 갱신과 자아 복제의 신진대사 과정에 있다. 기의 이러한 운동변화와 그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물질-에너지 전화의 과정을기화라고 하는데, 『素問(소문) 陰陽應象大論(음양응상대론)』에서는

 

 ()가 형()으로 돌아가면 형()은 기()로 돌아가고, ()가 정()으로 돌아가면 정()은 화()로 돌아가니, ()이 기()를 먹으면 형()은 미()를 먹으며, 기혈(氣血)이 화()하여 정()을 만들면 기()는 형()을 만들고 ()이 화()하여 기()가 된다

 

라고 한 것은 기화과정에 대한 개괄이다.

 

 기가 변화하여 형()이 되고, 형이 변화하여 기가 되는 형기전화(形氣轉化)의 기화 운동은 기、정、혈、진액 등 물질의 생성、전화、이용과 배설 과정을 포함한다. 인체는 반드시 끊임없이 주위 환경에서 생명활동에 필수적인 물질을 섭취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생명이 유지될 수 없다. 사람은 수곡(水穀)을 근본으로 하는데, 곡기를 얻으면 살고 곡기를 끊으면 죽는다.

 

 장부경락과 온몸의 조직은 다양한 각도, 범위와 깊이에서 이러한 기화운동을 하고 있으며, 아울러 그 중에서 필요한 영양물질과 동력을 획득하고, 쓸모 없거나 유해한 대사산물을 배출한다. 인체의 기화운동은 생명이 있는 한 존재하며, 기화가 없으면 생명도 없기 때문에 『素問(소문) 六微旨大論(육미지대론)』에서는

 

 만물이 생김에는 화()를 따르고, 만물이 다함에는 변()을 따른다. 변화의 상박(相搏)이 성패를 결정한다

 

라고 하였다. 이로써 기화운동은 생명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임을 알 수 있다.

만약 기의 기화작용이 정상적이지 못하면 모든 물질대사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음식물의 소화흡수나, 기、혈、진액의 생성과 수포나, 땀、오줌과 분변의 배설 등에 영향을 주어서 각종 대사 이상의 병변을 형성한다.

 

##

 

1-4)-(6) 영양작용

 비위가 음식물을 운화하여 수곡정기를 만들면 수곡정기는 진액과 결합하여 혈액을 형성하고, 맥관을 거쳐 전신을 운행하면서 영양작용을 발휘하므로 영기(營氣)라고 한다. 이 기는 응취되어 인체의 장부、경락과 각종 기관 등의 형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생명활동에 필요한 동력을 만들면서 소모된다.

 

##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