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 지난 포스팅에서 다 끝내지 못한 경별의 나머지 내용과 별락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5-1)-(2)-(ㄷ) 족양명(足陽明)과 족태음경별(足太陰經別) (三合(삼합))
足陽明經別(족양명경별): 대퇴 전면의 足陽明經脈(족양명경맥)에서 나누어져 나와 복강 안쪽으로 들어가 胃(위)에 귀속되며 脾臟(비장)에 분포합니다. 그리고 위로 올라가 심장을 지나서 식도를 따라 口腔(구강)으로 나와 鼻根(비근) 및 눈구멍 밑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안으로 目系(목계)에 이어지는데, 脈氣(맥기)는 足陽明本經(족양명본경)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足太陰經別(족태음경별): 대퇴 내측의 足太陰經脈(족태음경맥)에서 나누어져 나와 대퇴 전면에 이르며, 足陽明(족양명)의 경별과 같이 만난 다음 위로 올라가 인후에 이어지며 舌中(설중)을 관통합니다.
5-1)-(2)-(ㄹ) 수태양(手太陽)과 수소음경별(手少陰經別) (四合(사합))
手太陽經別(수태양경별): 액와양근간(腋窩兩筋間)에 있는 手少陰經脈(수소음경맥)에서 나누어져 나와 흉강으로 들어간 다음 심장에 귀속합니다. 그리고서 위로 올라가 목구멍을 지나 얼굴로 나오며, 內眼角(내안각)에서 手太陽經(수태양경)과 합쳐집니다.
手少陰經別(수소음경별): 연액부(淵腋部)의 근육 사이로 들어가서 심에 속하고 후롱을 따라 올라가 얼굴로 나와 목내자에서 합해집니다.
5-1)-(2)-(ㅁ) 수소양(手少陽)과 수궐음경별(手厥陰經別) (五合(오합))
手少陽經別(수소양경별): 頭項部(두항부)의 手少陽經脈(수소양경맥)에서 나누어져 나와 아래로 내려가서 缺盆(결분)으로 들어가며, 상초, 중초, 하초의 三焦(삼초)를 지나서 胸中(흉중)에 분포합니다.
手厥陰經別(수궐음경별): 腋下 三寸에 있는 手厥陰經脈(수궐음경맥)에서 나누어져 나와 흉강으로 들어간 다음 각기 상초, 중초, 하초의 三焦(삼초)에 귀속됩니다. 그리고 위로 올라가 목구멍을 돌아 귀 뒤로 나오며, 유돌하부(乳突下部)에서 手少陽經(수소양경)과 만납니다.
5-1)-(2)-(ㅂ) 수양명(手陽明)과 수태음경별(手太陰經別) (六合(육합))
手陽明經別(수양명경별): 肩髃穴(견우혈)의 手陽明經脈(수양명경맥)에서 나누어져 나와 項後(항후) 柱骨(주골)로 들어간 다음, 아래로 내려가는 支脈(지맥)은 大腸(대장)을 향해 가고 肺(폐)에 귀속됩니다. 그리고 위로 올라가는 支脈(지맥)은 목구멍을 돌아 쇄골 상와로 나오며, 脈氣(맥기)는 手陽明本經(수양명본경)에 귀속됩니다.
手太陰經別(수태음경별): 淵腋部(연액부)의 手太陰經脈(수태음경맥)에서 나누어져 나와 手少陰經別(수소음경별)의 전면을 지나 흉강으로 들어갑니다. 그러고 肺臟(폐장)으로 가고 大腸(대장)에 분포하며, 위로 올라가 쇄골 상 와도 나온 다음 목구멍을 돌아 手陽明經脈(수양명경맥)과 합칩니다.
이것으로 ‘경별(經別)’에 관한 내용은 일단락되었습니다. 그럼 바로 이어서, ‘별락(別絡)’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5-2) 별락(別絡)
別絡(별락) 역시 경맥에서 나누어져 나온 支脈(지맥)으로 대부분 체표에 분포합니다.
別絡(별락)은 十五條(십오조)로 이루어지는데, 즉 십이경맥 각기 一條(일조)가 있고, 위로는 任脈(임맥)、督脈(독맥)의 絡脈(낙맥), 그리고 脾(비)의 大絡(대락)이 있습니다. 다시 胃(위)의 大絡(대락)을 포함하여 十六別絡(십육별락)이라고도 합니다.
別絡(별락)은 絡脈(낙맥) 가운데 비교적 중요한 부분으로 전신에 무수히 분포된 가늘고 작은 絡脈(낙맥)과 관련됩니다. 別絡(별락)에서 나뉘어져 나온 가늘고 작은 絡脈(낙맥)을 “孫絡(손락)”이라고 하는데요, 『靈樞(영추) 脈度(맥도)』라는 서적에서 이르기를,
“絡脈(낙맥)에서 가지로 나온 것이 孫脈(손맥)이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피부 표면에 분포된 絡脈(낙맥)을 “浮絡(부락)”이라고 하는데요, 『靈樞(영추) 經脈(경맥)』라는 책에서는,
“대개 脈(맥)이 위로 떠서 잘 보이는 것”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5-2)-(1) 생리 공능
5-2)-(1)-(ㄱ) 십이경맥(十二經脈) 가운데 표리를 이루는 두 경맥 사이의 연결을 강화한다
주요 통로로서 陰經(음경) 별락은 陽經(양경)으로 가고, 陽經(양경) 별락은 陰經(음경)으로 가게 합니다.
5-2)-(1)-(ㄴ) 별락(別絡)은 다른 낙맥을 통솔하여 인체의 전、후、측면의 통일적인 관계를 강화한다
任脈(임맥)의 별락은 복부에 퍼져 있고, 督脈(독맥)의 별락은 背部(배부)에 퍼져 있으며, 脾(비)의 大絡(대락)은 흉협부에 퍼져 있는데, 이에 따라 인체 전、후、측면의 통일적인 관계를 강화합니다.
5-2)-(1)-(ㄷ) 기혈의 운행을 도와 전신을 유양한다
별락으로부터 나누어져 나온 손락과 부락은 두루 전신에 퍼져 있는데, 그물모양으로 넓게 퍼져 있으면서 함께 신체 조직의 접촉면을 넓어지게 만듭니다. 이로써 경맥을 순행하는 기혈이 별락과 손락을 지나게 하고, 점차 확산시켜서 인체 전반에 영양 작용을 충분히 발휘하게 합니다.
##
한 포스팅별로 한 파트를 딱딱 끊고 싶은데, 그러기엔 파트마다 분량이 많고, 내용 흐름을 보면 여기서 끊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별락(別絡)의 순행 부위에 대한 내용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의학.##역사.동양사.동아시아사.철학.동양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락(經絡 Meridian) 14 – 경근(經筋)의 개요와 공능, 순행 부위 (0) | 2022.07.19 |
---|---|
경락(經絡 Meridian) 13 –별락(別絡)의 순행 부위 (0) | 2022.07.18 |
경락(經絡 Meridian) 11 – 경별(經別) (0) | 2022.07.16 |
경락(經絡 Meridian) 10 – 기경팔맥(奇經八脈) : 충맥 ~ 음양유맥 (0) | 2022.07.15 |
경락(經絡 Meridian) 9 – 기경팔맥(奇經八脈) : 독맥 ~ 임맥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