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안녕하세요? 한국 의학사의 중요한 성과 3번째 포스팅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동의보감과 관련하여 자세하게 살펴보았습니다. 2009년 유네스코에서 동의보감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였는데, 이는 전통의학분야에서는 세계 최초이며, 그만큼 한국에서뿐 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동의보감의 가치가 귀중한 것임을 보여준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사상의학을 중심으로 포스팅하고 한국 의학사의 중요한 성과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

 

(4) 『東醫壽世保元(동의수세보원)』과 체질의학의 성립

19세기말 동무 이제마(李濟馬)는 기존의 한의학과는 다른 독특한 사상체질의학 (四象體質醫學)’을 제창하였습니다. 이제마는 사람은 각자 선천적으로 타고난 장부의 편성편쇠와 性情의 특징에 따라 일정한 체질을 형성하며, 그에 따라 생리와 병리 기전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치법도 각자의 체질에 맞게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사상의학은 성리학의 사단론(四端論)’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 (), (), (), ()의 오장(五臟) 중에 심()은 마치 군주의 역할과 같이 온전하고 원만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리고, ()을 제외한 나머지 사장(四臟)은 그렇지 못하여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편향된 장부(臟腑)를 타고 나며, 그러한 장부의 편차에 따라 마음의 성정(性情)도 독특하게 나타나게 되고, 우리 몸에서는 사장(四臟)이 위치한 사초(四焦)의 승강운동에 영향을 미쳐 일정한 체질을 형성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제마는 『格致藁(격치고)』 등에서 체질의학의 배경사상인 사단론(四端論)을 제시하였고, 『東醫壽世保元(동의수세보원)』에서 그것이 실제로 임상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설명하여 사상의학의 체계를 완성하였습니다.  

 

##

 

사상의학은 멀게는 삼국시대부터 가깝게는 『동의보감』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고유 의학을 만들고자 했던 전통의 결정판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사상적으로, 기존의 한의학이 도가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하여, 사상의학은 도가와 유가의 사상을 결합한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

 

오늘은 사상의학 만을 다루고 짧게 포스팅을 끝내겠습니다.

여러분, 문화는 한 지역에 고정되어 있지않고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습니다. 의학 역시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전통 의학도 중국 전통 의학과 영향을 주고받아 왔기에 한의학을 탐구할 때 한번 쯤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입니다. 그래서 다음 포스팅부터 다룰 내용은 중국 의학의 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